KPEANV

층간 소음

우리나라의 산업화 도시화 현상은 도시로의 인구집중과 가족구조 및 생활공간을 변화시키게 되었고, 특히 1990년대 1기 신도시를 비롯해 각종 개발사업으로 아파트 공급이 확대되면서 우리나라의 전체 주택 중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80% 달하고 있다. 이렇게 단독주택과 달리 벽과 바닥 그리고 천장을 이웃세대와 공유할 수 밖에 없어 소음진동 전달에 취약한 구조적 특성을 갖는 공동주택 보급 확대는 ‘층간소음’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는데, 이웃간에 크고 작은 다툼의 증가는 물론 폭행·살인등 대형 사건으로 까지 이어져 현재는 국가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로 각종 정책과 제도를 보완하고 규제를 강화해가고 있다.

층간소음 소음민원 현황(한국환경공단 층간소음 이웃사이 센터)

이러한 공동주택 층간소음 문제와 관련해 소음진동기술사는 이론과 현장경험을 겸비한 최고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층간소음 측정/분석/평가, 저감기술 연구개발, 기술 및 관리 교육 그리고 정부정책과 제도개선에 참여하는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KPEANV

층간 소음이란?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층간소음이란 공동주택 입주자 또는 사용자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으로서 다른 입주자 또는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의미한다. (다만, 욕실, 화장실 및 다용도실 등에서 급수ㆍ배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은 제외한다.)

  • 직접충격 소음(바닥충격음) : 뛰거나 걷는 동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 공기전달 소음 : 텔레비전, 음향기기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 중량충격음
    인간의 보행, 어린이들의 뜀 등에 의해 발생하는 무겁고, 지속시간이 긴 충격음으로서,
    낮은 주파수성분의 음이 많음
    바닥표면 마감재의 유연성에는 거의 관계가 없음
    구조, 슬래브 두께 및 면적, 슬래브의 고정조건 등에 영향을 받음
  • 경량충격음
    착화(着靴)보행이나 의자 또는 책상을 끌 때, 숟가락 등을 떨어뜨릴 때 발생하는 음으로서
    중·고주파수 음성분이 많음
    충격음레벨은 표면재의 유연성에 크게 영향을 받으나 슬래브 고정조건, 면적 등의 영향은 매우 작음

KPEANV

바닥충격음 및 층간소음 측정장비

Tapping machine

Rubber ball

층간소음 측정장비 (다채널소음 측정장치)

세대내 소음 측정

KPEANV

규제 및 관련기준

건설단계 바닥충격음 법기준

(주택법,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기준)

등급 경량충격음 등급 중량충격음 등급
1급 L'n,AW ≤ 43 L'i,Fmax,AW ≤ 40
2급 43 < L'n,AW ≤ 48 40 < L'i,Fmax,AW ≤ 43
3급 48 < L'n,AW ≤ 53 43 < L'i,Fmax,AW ≤ 47
4급 53 < L'n,AW ≤ 58 47 < L'i,Fmax,AW ≤ 50
등급 경량/중량 차단등급
1급 L' ≤ 37
2급 37 < L' ≤ 41
3급 41 < L' ≤ 45
4급 45 < L' ≤ 49

사용단계 층간소음 법기준

(소음진동관리법, 공동주택 층간소음의 범위와 기준에 관한 규칙)

층간소음의 구분 층간소음의 기준 [단위: dB(A)]
주간 (06:00 ~ 22:00) 야간 (22:00 ~ 06:00)
제2조제1호에 따른 직접충격 소음 1분간 등가소음도 (Leq) 39 34
최고소음도 (Lmax) 57 52
제2조제2호에 따른 공기전달 소음 5분간 등가소음도 (Leq) 45 40

KPEANV

사후 확인제도

바닥충격음 법규제 강화 (22.08. 이후 시행)

  • 개 념
    사용승인 전 단계(준공 전)에 단지의 일부 세대(샘플링)를 선정하여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하여 확인
  • 적용대상
    사업계획승인 대상(30세대 이상) 공동주택
  • 고려항목
    측정대상 세대수, 측정대상 선정방법, 측정방법, 측정기관,
    평가방법, 성능기준, 측정결과 활용방안 등
  • 측정 세대수
    단지 전체 세대 수의 5%
    (측정기관수 등을 고려하여 도입초기 2% 수준으로 도입하여 5%수준으로 단계적 상향)

KPEANV

층간 소음분야에서의 수행업무

  •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측정 및 평가
    바닥충격음(또는 층간소음)을 측정/분석하여 원인 규명
  • 층간소음 저감 컨설팅 및 솔루션 제시
    층간소음 저감 설계 제시 및 솔루션 제시
  • 층간소음 저감 기술 개발 및 연구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 및 적용
  • 층간소음 저감기술 및 측정/평가 기술교육
    층간소음 저감 기술 및 측정/평가 관련 전문 교육 시행